본문 바로가기
정보

청년내일저축계좌 납입 기한, 해지, 납입 중지 등 의문사항 총 정리

by @llthins@bout 2023. 2. 17.

이번 글에서는 청년내일저축계좌 납입 기한, 해지, 납입 중지 등 의문이 드는 사항들에 대하여 총 정리해 보겠습니다. 2023년 자산형성지원 통장사업 안내 지침에 웬만한 의문 사항에 대한 해답이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3년_자산형성지원_통장사업_안내(배포용_230119) (1).pdf
17.77MB

만약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썸네일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및 기간, 가입 조건, 혜택, 중도해지

청년내일저축계좌 의문사항 총 정리

본인 적립금 납입기한은 언제인지? 소급은 되는지?

본인의 적립금은 매달 20일까지 입금해야 합니다. 그리고 20일까지 입금하지 않을 경우 소급하여 입금할 수 없습니다. 자동이체 설정을 해두어 본인이 모르는 사이에 적립이 실패해도 소급이 불가능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급이 가능한 주택청약저축과는 살짝 다릅니다.

한 번이라도 적립금을 입금 안 하면 해지되나요?

적립중지 신청 없이 연속 6개월 미납 시 환수해지 사유에 해당합니다. 단, 연속 6개월 이전에는 적립금 미입금 시 미입금한 당월에만 지원금이 없으며 다음 달부터 입금한다면 다음 달에는 정상적으로 지원금이 매칭됩니다.

20일 전에 입금했는데 지원금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

1. 담당 공무원의 착오일 경우에는 다음 달에 지원금이 소급해서 지급이 됩니다.

2. 소득 조건이 미달되면 지원금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소급이 불가능하며, 소득 조건이 맞으면 그때부터 다시 지원금이 생성됩니다. 단, 6개월 이상 소득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환수해지 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적립중지가 가능한가요?

군입대, 임신/출산으로 인한 퇴직 및 휴직자의 경우 2년간 청년내일저축계좌 적립 중지가 가능합니다. 또한 만기도 최대 5년으로 늘어나며, 정부 지원금 매칭도 3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 사정으로 인한 적립 중지는 6개월까지만 가능합니다. 또한 정부 지원금 매칭도 30개월로 줄어들게 됩니다.

적립 중지와 본인 적립금 미적립이 연속될 경우

예를 들어 1월~5월까지 5개월 본인이 미적립 한 후, 6월부터 9월까지 적립 중지를 요청했습니다. 그리고 10월에 적립 중지가 끝난 후 적립금을 미적립 할 경우, 적립 중지 기간을 제외하고는 연속 6개월 미적립 했기 때문에 환수해지 사유에 해당합니다.

 

중도해지 시 정부 지원금이 모두 환수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기간은 언제인가요?

아직 정확한 가입 날짜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2022년에는 7~8월 사이에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5부제 이후 전원 신청 방식으로 온라인 신청을 받았습니다. 이번에도 그 시기에 가입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도중 연령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연령 조건은 만19세~34세인데요, 지원 도중 35세가 되어도 해지되지 않습니다. 가입 당시를 기준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다른 청년계좌들과 중복 가입이 가능한가요?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희망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가입을 원할 경우 기존의 통장을 중도해지하시고 가입하셔야 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공무원 가입 가능 여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공무원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국가 혹은 지자체에서 인건비 전액을 지급하는 재정 지원 일자리 사업의 종사자들은 가입이 불가능하지만, 공무원은 이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경우 소득 제한이 일반 직장인에게는 까다롭기 때문에 공무원도 9급 1호봉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가입이 힘들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퇴직하여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 기준을 벗어나면 즉시 중도해지 되나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소득 기준은 일반 신청자 기준 월 50만~200만 원 사이인데요, 이를 벗어날 경우 즉시 해지되지는 않습니다. 주기적으로 확인 조사를 하는데, 확인 조사 결과 기준을 벗어난 시점으로 1개월 이내에 소명을 하시거나 새로 취업하셔서 소득 기준을 맞추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가입 최초 3개월은 확인 조사를 하지 않으니 가입 최초 3개월까지는 일단 가입에 성공하셨다면 안심하셔도 좋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뜰폰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및 기간, 가입 조건, 혜택, 중도해지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및 기간, 가입 조건, 혜택, 중도해지

이번 글에서는 2023년 복지 사업인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날짜, 가입 조건, 혜택(저축 가능 금액)에 대해 작성해 보겠습니다. 올해 시행이 확정되었으며, 3년간 수익률 100% 짜리 사업이기 때문에

allthingsaboutour.com

 

 

댓글